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약수터인 게시물 표시

평창팔경

  한국앵무새학교 속사IC → 운두령 고개 → 한국앵무새학교 → 이승복기념관 → 방아다리약수 평창군 계방산 자락에 위치한 버드하우스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앵무새쇼 만을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봄부터 늦가을까지 아기자기한 꽃으로 뒤덮인 버드하우스는 겨울엔 주변의 가까운 바다와 스키장, 겨울산행으로 유명한 계방산, 오대산이 있어 더욱 좋다. 복잡한 일상을 잠시 접어두고 버드하우스로 색다른 여행을 떠나보자. 홈페이지 : http://www.birdhouse.co.kr 연 락 처 : 033-333-8249 이승복기념관 속사IC → 운두령 고개 → 한국앵무새학교 → 이승복기념관 → 방아다리약수 오대산 남서부, 계방산 자락을 휘감고 도는 운두령이 있는 곳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항거하며 어린 목숨을 접어야 했던 곳 분단의 시대에 우리들에게 이데올로기의 잔인성을 새삼 느끼게 하는 이승복 소년의 절규가 느껴지는 용평면 노동리. 이승복 소년의 반공정신을 기리고 공산당의 잔학상을 일깨워 주는 반공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1982년 3월에 36,000평의 대지 위에 기념관을 건립하였다. 이승복 소년의 생애를 기록산 유화 13점과 장비 106점, 유품 33점이 전시되어 있으며, 자연학습전시장과 기념과 주위에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자연학습의 장을 개발하여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홈페이지 : http://www.leesb-memorial.or.kr 연 락 처 : 033-332-4424 방아다리 약수 속사IC → 운두령 고개 → 한국앵무새학교 → 이승복기념관 → 방아다리약수 탐방지원센터에서 약수터까지 이어지는 약 300m 의 전나무 숲길은 오염되지 않는 숲의 냄새가 좋아 삼림욕을 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여건을 갖춘 곳으로 전나무, 잣나무, 소나무, 가문비나무, 박달나무 등 수많은 활엽수림이 울창하게 어우러진 곳이다. 또한 여기에서 나는 약수는 철분과 탄...

홍천팔경

1경. 팔봉산 8개의 암봉과 홍천강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명산 팔봉산 위 치 - 서면 팔봉리 전화문의 팔봉산관리사무소 033-434-0813 교통정보 • 버스 : 서울→홍천→반곡리 팔봉산입구(2시간 50분소요) (홍천에서 1일 4회 운행 : 차량시간안내 433-0015) • 승용차 : 홍천읍→부사원 검문소 좌회전→구만리→팔봉산(40분) 홍천읍→남면양덕원리→494지방도→백양치고개→대명비발디파크→팔봉산 숙박정보 대명비발디파크 033-434-8311 한국의 100대 명산으로 해발 327.4m의 나지막한 산으로 여덟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이어서 팔봉산이라 하며, 봄/가을은 등산객들이, 여름철은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 여덟 봉우리마다의 비경과 기암괴석이 산허리를 감싸고 흐르는 맑고 깨끗한 홍천강 물이 넓게 펼쳐진 백사장과 어우려져 한폭의 그림 같은 절경을 간직한 곳이다. 산이 낮아서 가족단위 산행에 적합하고 백사장이 있어 야영하기에 좋으며, 메기ㆍ쏘가리 등 민물고기를 낚을 수 있고, 관광지 내 풋살경기장이 있어 단체 관광객이 체육행사도 할 수 있다. 등산코스 주차장→팔봉교→1봉→정상(2봉)→3봉→해산굴→4봉→5,6,7봉→8봉→팔봉교→주차장 (4km, 3시간) 주차장→팔봉교→약수터→정상(2봉)→3봉→해산굴→4봉→5,6,7봉→8봉→팔봉교→주차장 (3.5km, 2시간 20분) * 8봉은 초보자는 위험하므로 7봉과 8봉 사이에서 하산하는 것이 좋음 2 경. 가리산 석간수가 샘솟는 신비한 암봉 가리산 위 치 두촌면 천현리 134-1번지 주차시설 가리산 휴양림 주차장이용 전화문의 가리산휴양림사무소 033-435-6034 이용시간 수용인원 1일 1,500명 교통정보 • 버스 : 서울→홍천→두촌면 역내리(2시간 40분소요)→가리산휴양림 • 승용차 : 홍쳔→철정건문소→역내리(국도 44호선)→가리산휴양림 • 선박 : 소양댐→물노리→가리산 (1일 2회) 해발 1,051m의 가리산은 산 정상에 서면 탁트인 시야와 발 아래로 펼쳐진 소양호의 풍경이 등산객들의 발을 묶는 곳이다. ...

강원도 평창의 전설

약수탕 옛날 평창읍 약수리에서 솟아나는 샘이 피부병에 걸린 사람에게 효험이 있어 영험하다는 소문이 퍼지자 이 물에 목욕을 하러 오는 사람이 길을 메우고 온통 혼란을 빚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때로는 문둥병 환자가 끼어 와서 이 물에 목욕을 하거나 먹으면 씻은 듯이 병이 나아서 가기도 하니 이에 많은 문둥병 환자들이 한꺼번에 들이 닥쳐서 이 마을은 문둥이 등살에 여간 혼란하지 않았으며 한 때는 밥을 빌어먹는 문둥이 때문에 주민들이 끼니마저 걸러야 할 처지에 놓여지기도 했다. 주민들이 약수 때문에 날로 살기가 어려워지자 이 마을에 살고 있던 기운 센 장사가 절박해진 마을 형편을 알고는 큰 바위를 들어 약수탕을 덮어 버렸다. 이런 일이 있은 후 얼마간은 바위에 눌려 물이 흐르지 않더니 이후 묻어 놓은 바위 틈을 타고 물이 다시 흐르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이 일이 있은 후부터는 이 물을 아무리 먹고 아무리 목욕을 해도 병에 아무 효력이 없어지고 말았다고 한다. 마을 노인들에 의하면 장사가 바위로 약수를 덮은 후 약물이 다른 곳으로 옮겨졌기 때문이라고 하며 지금은 약수가 없지만 옛날 약수가 있었던 마을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약수리로 부르며 지금도 옛날 약수가 나오던 곳을 약수터라 하며 맑고 깨끗한 샘물이 솟아오르고 있다. 여미륵 평창읍에서 남으로 1km 정도 영월행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길 옆 우측 산비탈에 미륵불이 서 있는 것이 보이며 그 주위에 1m 정도의 돌담이 둘러쳐져 있다. 옛날, 여미륵이 마주 보는 강건너 종부리에 여러 대를 걸쳐 부유하게 살아 오던 황씨 일가가 있었다. 주인 황씨는 구두쇠로 유명하여 아무리 끈질긴 거지라 하더라도 이 황씨네 문 앞에서는 그냥 돌아가야만했었다. 어느 해 봄 백발의 노승 한 사람이 황씨 집을 찾아와 시주를 청하였다. 이에 황부자가 "원 별 미친 놈의 중을 다 보겠군, 내가 언제부터 덕으로 살았나?" 하며 한마디로 거절하자 노승은 황부자의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황부자님, 시주는 그만 두시고 소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