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명소인 게시물 표시

무릉계곡에서 선비들의 피서법 엿보기

요산요수(樂山樂水)라는 말이 있다.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는 뜻이다. 옛 선현들은 산과 물을 찾아 경치를 즐기며 차분하게 더위를 이겨냈다. 그래서 선현들이 찾은 곳은 깊은 산속에 숨어 있는 계곡이 많았다. 높은 산의 골짜기 골짜기마다 흘러 내려온 물은 계곡이 되어 힘찬 물줄기를 자랑한다. 강원도 동해의 두타산에는 이름도 신선이 노닐 것 같은 무릉계곡이 있다. 무릉계곡, 산과 물의 조화 계곡에서는 바다에서 느낄 수 없는 색다른 멋과 맛이 있다.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는 산이 있고, 그산에서 시원한 물줄기가 흘러 내려온다. 산길을 따라 길을 걷다 보면 나무와 풀들에 둘러싸인 등산로와 샛길들은 시원한 느낌이 절로 들고, 흐르는 계곡물이 또 한 번 마음을 적셔준다. 무릉계곡은 동해의 명산인 두타산과 청옥산이 함께 만들어내는 계곡이다. 도시의 이름도 바다의 명칭일 정도로 바다와 가까운 곳이기에 바다를 향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 덕분인지 더욱 깨끗한 심산유곡을 자랑하는 계곡이다. 두타산 입구에서 시작해 4Km를 이어가는 완만한 산행길부터, 이어지는 학소대, 옥류동, 선녀탕, 쌍폭, 용추폭포 등의 비경은 올라갈수록 발걸음을 더욱 가볍게 한다. 동해 사람들은 이곳 무릉계곡을 ‘용오름길’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고개를 들면 깎아지른 듯이 그 위용을 자랑하는 계곡을 올려 보게 된다. 인근의 삼화사 창건 당시 약사삼불 삼형제가 서역에서 이곳으로 용을 타고 왔다는 전설 때문에 유래된 이름이긴 하지만, 과연 용이 승천하는 길목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넓은 무릉반석 위에서 물놀이 계곡물은 유독 시원하다. 다른 곳의 물보다 몇 도는 낮을 것 같은 무릉계곡의 계곡물은 여름에 이곳을 찾은 사람들에게 시원한 물줄기를 선사한다. 무릉계곡의 무릉반석은 아주 넓고 멋지다. 그넓고 평평한 바위 위에 앉아 계곡물을 벗 삼아 휴식을 취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왜 선비들이 그토록 명산(名山)을 찾아 계곡물을 즐겼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지금도 사극이나 역사소설에 방랑하는 선비들의 모습을 그릴때...

일출 명소

한 해 태양이 솟아오르는 횟수만 365번. 하지만 사람들은 1번째로 떠오르는 태양을 유독 좋아한다. 새해 소원을 비는 사람, 새 마음으로 한 해 다짐하는 사람 등은 그 태양을 보기 위해서라면 새벽에 출발하는 수고로움도 아끼지 않는다. 새해 첫 태양이 떠오르는 곳, 동해안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바다, 동해. 새해가 되면 일출을 보기 위해 전국팔도에서 사람들이 몰려든다. 강원도 양양5경인 ‘하조대’는 새해 첫 해을 맞이하기에 아름다운 곳이다. 조선시대 개국공신 ‘하륜’과 ‘조준’이 고려 말 은거했던 곳으로 두 사람의 성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 해변에 우뚝 솟은 기암절벽 위에 노송이 어울려 절경을 이루고 절벽 위에 육각정이 있어 탁 트인 동해바다를 포함한 사방을 조망할 수 있다. 양양군은 1월 1일 7시 41분에 일출이 시작된다. 포항의 ‘호미곶’도 동해안 일출 관광지로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유명한 곳이다. ‘호랑이 꼬리’라는 의미인 호미곶은 한반도 내륙 중 최동단에 위치해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이다. 특히 이곳에 조성된 해맞이 광장은 청동으로 만든 오른손·왼손 조형물인 ‘상생의 손’부터 ‘영원의 불씨함’ 등이 조성돼 있다. 포항시는 7시 33분에 일출이 시작된다. * 기타 동해안 일출명소 : 정동진·경포대(강릉·07:39일출), 낙산사의상대(양양군), 문무대왕릉(경주·06:45일출) 숨은 일출명소를 찾다, 서해안 태양은 동쪽에서 뜨고 서쪽에서 진다. 그러한 까닭에 서해안은 일출보다는 일몰명소가 더 유명하다. 하지만 잘 찾아보면 해돋이를 만날 수 있는 숨겨진 장소를 발견할 수 있다. 마을 양쪽이 바다여서 마치 왜가리 목같이 생겼다 해 붙여진 이름인 충청남도 당진시의 ‘왜목마을’. 매년 해돋이축제가 열릴 만큼 일출과 일몰이 유명하다.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 바닷가보다는 야트막한 석문산(79m) 정상이 좋다. 왜목마을의 일출은 동해안 일출처럼 장엄하지는 않지만 소박하면서도 서정적인 느낌을 준다. 당진시는 7시 46분에 일출이 시작된다. 서해안의 또...

양양팔경

남대천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남대천 남대천은 총 길이가 54km되는 하천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오염되지 않은 청정수역이다. 봄에는 황어, 7~8월에는 은어, 10~11월엔 북태평양에서 3~5년 동안 자란 연어떼가 돌아오는 곳이다. 또한 이곳은 타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뚜거리, 민물참게 등 희귀 민물 고기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물과 구룡령에서 발원한 물이 만나 큰 하천을 이루어 동해로 흘러가는 양양 남대천은 연어들의 모천인’어머니의 강’으로 불려지며, 매년 연어축제가 열리고 있어 연어들의 힘찬 몸부림을 직접 만나 볼 수 있다. 대청봉(설악산)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산1-24 http://seorak.knps.or.kr/ 남설악은 설악산의 내륙 쪽 자락이어서 외설악에 비해 계곡이 부드러워 여성적이라는 말을 듣는다. 백담계곡, 수렴동계곡, 가야동계곡, 구곡담계곡, 십이선녀탕계곡 등의 아름다운 계곡과 대승, 소승 등의 시원한 폭포를 품고 있다. 반면 외설악은 천불동계곡을 포함해 칠성봉, 화채봉, 권금성 등 기암절벽이 장쾌하게 펼쳐져 있어 남성미가 돋보인다. 설악산 최고봉인 해발 1,708m의 대청봉과 점봉산을 포함하는 설악산 남쪽자락에 위치한 오색지구는 원시림이 자연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산좋고, 물맑은 곳에서 서식한다는 에델바이스, 금강초롱, 금낭화,주목나무, 마가목등 희귀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오색령 ( 한계령)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해발고도 1,004 m인 한계령(오색령)은 내설악과 남설악을 잇는 44번 국도이며 애환을 동고동락한 고개이다. 인생을 닮은 듯 굽이굽이 이어진 길을 따라 달리면 남설악의 절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특히 설악의 운무가 펼치는 장관은 한계령에서만 볼 수 있다. 이중환의 택리지를 보다보면 강원도 지역에서 여섯개의 령을 손꼽았는데 그 중에서도 으뜸이 한계령(오색령)이라 했다. 부대시설 - 한계령휴게소 등 교통편으로는 대중교통 이용이 불가능하며 자가용으로 이용해야 한다 주전골 주전골 ...

경상북도 칠곡군_자연명소정보

1. 남포루 주 소 : 칠곡군 가산면 가산산성 인근 남포루는 산성의 포대가 있었던 자리의 명칭이었으나, 현재는 남포루가 있던 터에서 좀더 남쪽으로 들어간 곳에 있는 기암을 이르는 명칭이 되었다. 기암 아래는 깍아지는 듯한 낭떠러지이다. 가산산성 동문에서 0.5km, 가산중문에서 1km 떨어진 곳에 있다. 2. 낙화담 주 소 :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와 달서리에 걸쳐 있는 저수지로 유채꽃밭이 조성되어 있고 주변 경관이 아름다운 곳. 임진왜란 때 마을 여인들이 왜병들로부터 정절을 지키기 위하여 꽃잎처럼 몸을 던진 절벽이 있는 못이라 하여 낙화담이라 한다. 3. 가산바위 주 소 : 칠곡군 동명면 남원리, 가산면 가산리 일원 가산 정상 부근에 위치하며, 칼로 베어 다듬어 놓은 듯 평탄하여 100여명이 한꺼번에 올라갈 수 있다. 신라시대 고승 도선이 지기를 잡기 위해 쇠로 만든 말과 소를 묻었다는 전설이 있다. 4. 요술고개 주 소 : 칠곡군 석적읍 망정리, 지천면 백운리 요술의 고개는 칠곡군 석적읍 망정리와 지천면 백운리를 잇는 군도 5호선 면 경계지점으로 한골재 정상부근에 위치한다. 이 구간은 실제로는 오르막이나 내리막처럼 보이는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요술의 고개이다. 차를 세우고 시동을 끄거나, 캔이나 공 등을 올려놓으면 거꾸로 올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이 도로는 1999년도에 개설되었으며,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길이는 180m 정도로 약 2.388%의 상향배 구배이다. 승용차로 실감하는 요령은 시점에서 일단 정차 후, 내리막임을 확인하고 종점까지 가서 시동을 끄고 기어를 풀면 차가 미끄러지듯 오르막으로 올라가는 착각을 일으키는 신비함을 체험할 수 있다. 5. 한티재 주 소 :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군위간 경계 해발 700m에 위치하는 시원하고 전망좋은 곳으로, 가산산성과 제2석굴암으로 가는 경유지이고, 여름밤에는 더위를 식히려고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6. 신동재 주 소 : 칠곡군 지천면 신동재 우리나라 최대의 아카시아 밀원지인 신동재는 해마다...

강원도 고성군 팔경

◆ 울산바위 문의처 :관광문화체육과 (033-680-3361~3) 설악산끝자락 속초와 고성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울산바위를 고성지역에서 바라본 그 경관은 자연의 위용과 함께 예술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기암절벽의 극치를보여준다.   울산바위   설악산끝자락 속초와 고성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울산바위를 고성지역에서 바라본 그 경관은 자연의 위용과 함께 예술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기암절벽의 극치를보여준다. 해발 873m인 울산바위는 사방이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둘레가 4㎞이며 6개의 봉우리로 어우러져 있다. 보는이마다 그냥 지나지 못하고 그 위용에 압도되어 올려보게 만드는 울산바위는 그 웅장함 때문인지 명칭에 대한 3가지설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울타리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 또하나는 우는 산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다. 그리고듣는 이마다 가장 재미있게 여겨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되는 설이 하나 있으니 내용인즉 이렇다.   전설에따르면 조물주가 금강산의 경관을 빼어나게 빚으려고 잘생긴 바위는 모두 금강산에 모이도록 불렀다. 경상남도울산에 있었던 큰 바위도 그 말을 듣고 금강산의 1만2천봉에 함께하고자 길을 떠났으나 워낙 덩치가 크고 몸이 무거워 금강산을 코앞에 둔 미시령에서 잠시 쉬어가고자 앉았다가 설악산에 이르러보니 이미 금강산은 모두 빚어지고 말았다. 울산바위는 그 한 많은 사연을 간직한 채 고향 울산으로 돌아갈 체면도 없어 설악산 미시령에 그대로 눌러앉고 말았다는 것이다.     서울에서출발하여 미시령 터널을 통과하면 오른쪽으로 울산바위를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볼 수 있는데, 이곳에서 울산바위를 바라보면 높이 솟은 기암절벽과 절벽의 아래를 둘러싼 푸른빛이 참으로장관을 이루고 있어 감탄을 금할 수가 없다. 하지만, 울산바위를꼭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강원도고성의 화암사 가는 길을 달릴 때에도 울산바위를 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