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체험여행인 게시물 표시

“천년을 살어리랏다” 한지의 무한도전

1000년을 사용하는 종이 한지 + 오랫동안 무심히 자신의 자리에서 긴 생명력으로 인내하던 한지가 새로운 가치를 인정받으며, 단순한 종이로서가 아닌 과학, 문화, 의학, 생활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주요한 소재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한지 고유의 특징을 살린 건축재료나 생활용품 등 우리 주거환경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한지는 천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는 우리 고유의 종이다. 닥나무는 섬유질이 길고 강하며 서로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 질긴 종이를 만드는 데 적합하다. 닥나무는 한반도 전 지역에서 거의 볼 수 있는데, 특히 강원도 원성군의 닥나무가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고려시대부터 왕실의 진상품에 들어갈 정도로 품질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아온 한지는 생활 용품을 만드는 대표적인 재료 중 하나였다. 요즘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일반적 종이들 대부분이 화학약품의 남발로 산화가 빠르고 유해한 반면, 우리나라 한지는 자연 친화적이며 보존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또 모조지나 갱지, 그리고 아트지의 수명이 100년을 넘기기 어렵다고 알려진데 반해 한지의 수명은 1000년이 넘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계인들의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한지의 보존성은 1,2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무구정광다라니경과 630여년 된 직지심경을 통해 이미 입증된 바 있다. 한지의 힘은 그에 머물지 않는다.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한지가 최근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친환경성을 살린 벽지, 장판지, 타일 등 개발 확산 + 한지는 닥나무 껍질 자체로 만들어 촉감이 부드럽고, 섬유 사이에 적당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습도조절과 통기성, 그리고 보온성이 좋다. 또 여러 겹을 배접함으로써 견고하고 단단하여 보존성이 높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 역시 용이하다. 기름을 잘 먹는 한지는 손쉬운 유지 제조는 물론 염색에 따라 그 색상도 다양해 실내외 모두에 활용도가 높다. 특허청에 따르면 2001년 이후 한지와 관련된 ...

은빛 바다를 머금은 작은 반도 고흥군

전라남도 동남부 해안에 있는 작은 반도 고흥군은 복주머니가 한반도 끝에 걸린 모습이다. 고흥군에 들어서니 복주머니 입구가 열린 듯 온갖 재미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쏟아진다. 청정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치유의 섬 소록도부터 국내 최초의 우주 센터에서 열리는 2016 우주항공축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바다를 직접 경험해볼 수 있는 신기 거북이마을까지. 바다와 축제, 농촌체험마을까지 두루 즐길 수 있는 7월의 고흥으로 떠나보자. 한센병 환자들의 애환으로 일군 섬, 소록도 고흥반도 끝자락인 녹동항에서 1㎞가 채 안 되는 거리에 자리잡은 작은 섬 소록도. 섬의 모양이 어린 사슴과 비슷하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지난 2009년 소록대교가 완전히 개통되면서 깨끗한 자연환경과 해안 절경 등으로 소록도는 최근 고흥군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울창한 송림과 아름다운 백사장이 잘 어우러지는 소록도해수욕장과 잘 가꿔진 나무들과 함께 빼어난 조경을 자랑하는 중앙공원은 많은 사람이 찾는 장소 중 하나다. 그러나 소록도는 한센병 환자들의 애환이 깃들어 있는 섬이기도 하다. 지금도 섬 곳곳에 애환의 역사를 간직한 흔적들이 남아있다. 아름답기로 소문난 중앙공원은 연간 6만여 명의 환자들을 3년 4개월 동안 강제 동원해 만든 공원이라는 이면을 가지고 있다. 공원 입구에 보존된 한센병 환자들을 불법 감금한 감금실과 강제로 정관수술을 시행했던 검시실을 바라보니 그들이 겪었을 아픔이 느껴진다. 한편 소록도의 슈바이처라 불리는 하나이젠키치 원장의 창덕비와 ‘한센병은 낫는다’는 글귀가 새겨진 구라탑도 만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의료진들의 박애 정신과 환자들이 가졌던 희망의 마음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할 수 있다. 주 소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소록해안길 65 (국립소록도병원) 문 의 061-830-5617 (도양읍사무소 소록출장소) 홈페이지 tour.goheung.go.kr 우주의 꿈이 이뤄진 곳에서 펼쳐지는 향연, 2016 고흥 우주항공축제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 ‘나로호’를 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