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힐링인 게시물 표시

천마산 편백산림욕장

달천동 천마산에 5ha에 식재된 30년생 편백나무 8,500여 그루가 있으며, 북구청에서 2010년 5월에 산림욕장을 겸한 주민 휴식처로 조성했다. 이 곳에는 주민들이 쉴 수 있는 원두막과 피크닉테이블, 숲 해설판, 평상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천마산 등산로를 기준으로 솔 숲길(0.54km)과 성터옛길(at), 0.4km 만석골 저수지 및 생태수변 전망테크, 천마산 정상 전망대 등이 마련됐다. 또한 천마산 정상을 통해서 순금산으로 가는길에 관문성이라는 문화 체험 코스가 있어 역사체험 코스로 부각되고 있다. 편백나무는 주로 제주도 및 남부지방에 심어서 기르는 상록침엽교목이며, 침엽수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의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나무로 유명해, 아토피 등 피부질환을 치료하는데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심폐기능 강화, 항균 및 이뇨, 거담효과가 뛰어나다. 2만여 그루의 편백이 뿜어내는 피톤치드를 깊게 들이마시면 한 주 동안 쌓였던 스트레스가 ‘확’ 사라진다. 울산 북구 달천동 ‘천마산 편백산림욕장’(해발 263m)은 울산광역시 북구 달천동 산 167번지 일원 등산복이나 등산화 없이도 가벼운 차림으로 쉽게 오를 수 있는 산길이다. 이를 입증하듯, 산림욕장 곳곳에는 손자·손녀의 손을 잡은 할머니·할아버지와 어린아이를 안거나 업은 젊은 부부들이 많다. 여기에 천마산은 사계절 색다른 자태를 뽐내고, 들꽃과 들풀의 향연이 피로를 씻어 준다. 그래서 편백산림욕장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인기다. 12일 울산 북구에 따르면 천마산 편백산림욕장은 2010년 5월 달천동 천마산 일원 40㏊에 조성됐다. 편백 5㏊, 잣나무 2㏊, 소나무 33㏊ 등이 산림욕장을 이룬다. 방문객을 위한 산림욕대, 피크닉테이블, 순환산책 데크, 화초단지, 전망대, 원두막, 숲속 도서관 등도 만들었다. 2015년 조성 첫해부터 4년 동안 1만~3만명이던 방문객이 2014년 5만명으로 늘어난 이후 2015년 5만 5000명, 지난해 6만 5000명 등 ...

숨쉬는 집, 황토집

흔히 사람들은 황토(黃土)는 누런 흙을 말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황토는 규토와 흙으로 이루어진 자연 상태의 흙을 이르는 말로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다. 그래서 경상도 지방의 황토는 누런 기운이 강하고, 전라남도 지방의 황토는 붉은 기운이 강하다. 이것은 산화철의 함유량에 따른 차이이고, 이 황토에서는 농산물도 잘 자라난다. 그래서 흙 속에 묻혀 있던 부분을 먹는 뿌리채소의 경우에는 황토 지대에서 자라난 것을 으뜸 상품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황토는 예로부터 그 흙으로부터 농산물을 얻어내고, 집을 짓고 물건을 만드는 재료이자 삶의 터전으로 생각했던 흙이다. + 황토는 은폐력이 강하고 영구적인 안료이다. 그래서 선사시대부터 집을 짓는 데 사용되어 왔다. 지붕은 기와나 짚을 엮어 올렸지만, 벽면은 황토를 섞어 만들었다. 깨끗한 황토를 퍼 와서 오늘날의 페인트처럼 벽면에 바르기도 했다. 이런 주술적인 행동은 과학적인 근거에 의한 조상들의 지혜였는데, 황토가 가지는 여러 가지 기능을 본다면 그 이유를 쉽게 알 수 있다. 황토의 붉은색이 악귀를 쫓는다고 했는데, 옛 사람들에게 악귀란 역병같이 돌림병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다. 황토는 항균효과가 있어서 오늘날에는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되고 있으니 옛사람들도 황토의 그런 효능을 어렴풋이 짐작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제사를 모실 곳이나 제물을 장만할 곳 등 중요한 곳에는 황토를 뿌려서 나쁜 기운을 막기도 했다 그리고 아이가 태어난 집에 걸리는 금줄과 함께 황토를 까는 풍습도 있었다. 이 역시도 막 태어난 신생아의 면역력이 낮기 때문에 태어난 아기의 건강을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 자연주의와 건강에 대한 높아진 관심은 현대인의 주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도시에서도 심심치 않게, 찜질방, 음식점 등의 모습이 황토집인 경우를 볼 수 있고, 가까이 도심 근교에 자리한 전원주택가에서도 황토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귀농·귀촌인이 늘고 있는 요즘, 귀농·귀촌인이 농촌에 정착해서 ...

무릉계곡에서 선비들의 피서법 엿보기

요산요수(樂山樂水)라는 말이 있다.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는 뜻이다. 옛 선현들은 산과 물을 찾아 경치를 즐기며 차분하게 더위를 이겨냈다. 그래서 선현들이 찾은 곳은 깊은 산속에 숨어 있는 계곡이 많았다. 높은 산의 골짜기 골짜기마다 흘러 내려온 물은 계곡이 되어 힘찬 물줄기를 자랑한다. 강원도 동해의 두타산에는 이름도 신선이 노닐 것 같은 무릉계곡이 있다. 무릉계곡, 산과 물의 조화 계곡에서는 바다에서 느낄 수 없는 색다른 멋과 맛이 있다.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는 산이 있고, 그산에서 시원한 물줄기가 흘러 내려온다. 산길을 따라 길을 걷다 보면 나무와 풀들에 둘러싸인 등산로와 샛길들은 시원한 느낌이 절로 들고, 흐르는 계곡물이 또 한 번 마음을 적셔준다. 무릉계곡은 동해의 명산인 두타산과 청옥산이 함께 만들어내는 계곡이다. 도시의 이름도 바다의 명칭일 정도로 바다와 가까운 곳이기에 바다를 향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 덕분인지 더욱 깨끗한 심산유곡을 자랑하는 계곡이다. 두타산 입구에서 시작해 4Km를 이어가는 완만한 산행길부터, 이어지는 학소대, 옥류동, 선녀탕, 쌍폭, 용추폭포 등의 비경은 올라갈수록 발걸음을 더욱 가볍게 한다. 동해 사람들은 이곳 무릉계곡을 ‘용오름길’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고개를 들면 깎아지른 듯이 그 위용을 자랑하는 계곡을 올려 보게 된다. 인근의 삼화사 창건 당시 약사삼불 삼형제가 서역에서 이곳으로 용을 타고 왔다는 전설 때문에 유래된 이름이긴 하지만, 과연 용이 승천하는 길목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넓은 무릉반석 위에서 물놀이 계곡물은 유독 시원하다. 다른 곳의 물보다 몇 도는 낮을 것 같은 무릉계곡의 계곡물은 여름에 이곳을 찾은 사람들에게 시원한 물줄기를 선사한다. 무릉계곡의 무릉반석은 아주 넓고 멋지다. 그넓고 평평한 바위 위에 앉아 계곡물을 벗 삼아 휴식을 취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왜 선비들이 그토록 명산(名山)을 찾아 계곡물을 즐겼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지금도 사극이나 역사소설에 방랑하는 선비들의 모습을 그릴때...

평창월정사 전나무숲길

평창월정사 전나무숲길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관광지로 선정]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원시림을 연상케 하는 거대한 전나무 군락이 인상 깊은 월정사 코스는 이곳만을 목표로 드라이브에 나서도 후회 없는 하루 일과를 즐길 수있 다. 월성사는 영동고속도로 상진부 교차로에서 나뉘어져 상진부 휴게소앞 삼거리에서 좌회전, 4.5hn지점인 간평리 삼거리에 진입하게 된다. 간평에서 절 앞까지 20리길이 완전 포장되어 있다. 또 월정사 앞에서 북쪽으로 8. 3km만 더 가면 동종으로 유명한 상원사가  있다. 이 코스는 비록 비포장 도로이지만 노면이  매끄럽고 하천과 산곡사이를  누비는  독특한  분위기의  드라이브코스다 월정사코스는  매표소를  지나면서부터 전개되는 전나무  거목터널이  장관이고 상원사에 이르는 연장 코스가 하일라이트라 할만하다. 상진부 교차로는 영동제 1, 제 2터 널을 지나 장평, 속사 하진부를 통과하게 되고 웅평스키장과 대관령 못미처에 있다. 서울,상진부간  거리는 193키로며  3시간 소요 <<주변관광지>> 한국자생식물원 http://www.kbotanic.co.kr/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비안길 159-4 지번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병내리 405-2 전화번호033-332-7069 허브나라   http://www.herbnara.com/default/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흥정계곡길 225 지번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흥정리 302-7 전화번호033-335-2902 오대산 http://odae.knps.or.kr/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2 지번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75-6 전화번호033-332-6417 양떼목장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대관령마루길 483-32 대관령양떼목장 지번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14-104 전화번호033-335-1966 http://www.yangtte.co.k...

양양팔경

남대천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남대천 남대천은 총 길이가 54km되는 하천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오염되지 않은 청정수역이다. 봄에는 황어, 7~8월에는 은어, 10~11월엔 북태평양에서 3~5년 동안 자란 연어떼가 돌아오는 곳이다. 또한 이곳은 타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뚜거리, 민물참게 등 희귀 민물 고기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물과 구룡령에서 발원한 물이 만나 큰 하천을 이루어 동해로 흘러가는 양양 남대천은 연어들의 모천인’어머니의 강’으로 불려지며, 매년 연어축제가 열리고 있어 연어들의 힘찬 몸부림을 직접 만나 볼 수 있다. 대청봉(설악산)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산1-24 http://seorak.knps.or.kr/ 남설악은 설악산의 내륙 쪽 자락이어서 외설악에 비해 계곡이 부드러워 여성적이라는 말을 듣는다. 백담계곡, 수렴동계곡, 가야동계곡, 구곡담계곡, 십이선녀탕계곡 등의 아름다운 계곡과 대승, 소승 등의 시원한 폭포를 품고 있다. 반면 외설악은 천불동계곡을 포함해 칠성봉, 화채봉, 권금성 등 기암절벽이 장쾌하게 펼쳐져 있어 남성미가 돋보인다. 설악산 최고봉인 해발 1,708m의 대청봉과 점봉산을 포함하는 설악산 남쪽자락에 위치한 오색지구는 원시림이 자연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산좋고, 물맑은 곳에서 서식한다는 에델바이스, 금강초롱, 금낭화,주목나무, 마가목등 희귀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오색령 ( 한계령)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해발고도 1,004 m인 한계령(오색령)은 내설악과 남설악을 잇는 44번 국도이며 애환을 동고동락한 고개이다. 인생을 닮은 듯 굽이굽이 이어진 길을 따라 달리면 남설악의 절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특히 설악의 운무가 펼치는 장관은 한계령에서만 볼 수 있다. 이중환의 택리지를 보다보면 강원도 지역에서 여섯개의 령을 손꼽았는데 그 중에서도 으뜸이 한계령(오색령)이라 했다. 부대시설 - 한계령휴게소 등 교통편으로는 대중교통 이용이 불가능하며 자가용으로 이용해야 한다 주전골 주전골 ...

홍천팔경

1경. 팔봉산 8개의 암봉과 홍천강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명산 팔봉산 위 치 - 서면 팔봉리 전화문의 팔봉산관리사무소 033-434-0813 교통정보 • 버스 : 서울→홍천→반곡리 팔봉산입구(2시간 50분소요) (홍천에서 1일 4회 운행 : 차량시간안내 433-0015) • 승용차 : 홍천읍→부사원 검문소 좌회전→구만리→팔봉산(40분) 홍천읍→남면양덕원리→494지방도→백양치고개→대명비발디파크→팔봉산 숙박정보 대명비발디파크 033-434-8311 한국의 100대 명산으로 해발 327.4m의 나지막한 산으로 여덟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이어서 팔봉산이라 하며, 봄/가을은 등산객들이, 여름철은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 여덟 봉우리마다의 비경과 기암괴석이 산허리를 감싸고 흐르는 맑고 깨끗한 홍천강 물이 넓게 펼쳐진 백사장과 어우려져 한폭의 그림 같은 절경을 간직한 곳이다. 산이 낮아서 가족단위 산행에 적합하고 백사장이 있어 야영하기에 좋으며, 메기ㆍ쏘가리 등 민물고기를 낚을 수 있고, 관광지 내 풋살경기장이 있어 단체 관광객이 체육행사도 할 수 있다. 등산코스 주차장→팔봉교→1봉→정상(2봉)→3봉→해산굴→4봉→5,6,7봉→8봉→팔봉교→주차장 (4km, 3시간) 주차장→팔봉교→약수터→정상(2봉)→3봉→해산굴→4봉→5,6,7봉→8봉→팔봉교→주차장 (3.5km, 2시간 20분) * 8봉은 초보자는 위험하므로 7봉과 8봉 사이에서 하산하는 것이 좋음 2 경. 가리산 석간수가 샘솟는 신비한 암봉 가리산 위 치 두촌면 천현리 134-1번지 주차시설 가리산 휴양림 주차장이용 전화문의 가리산휴양림사무소 033-435-6034 이용시간 수용인원 1일 1,500명 교통정보 • 버스 : 서울→홍천→두촌면 역내리(2시간 40분소요)→가리산휴양림 • 승용차 : 홍쳔→철정건문소→역내리(국도 44호선)→가리산휴양림 • 선박 : 소양댐→물노리→가리산 (1일 2회) 해발 1,051m의 가리산은 산 정상에 서면 탁트인 시야와 발 아래로 펼쳐진 소양호의 풍경이 등산객들의 발을 묶는 곳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