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기관차가 80량 장대열차 끝단 기관차 무선제어,코레일, 철도기술연구원, 현대로템 공동 개발 코레일은 18일 오후 총길이 1.2km(80량)에 이르는 국내 최장 화물열차가 부산신항역~진례역 구간 시험운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날 시험운행에서 국내 최초로 선보인 ‘분산중련 무선제어’ 시스템은 대용량 장대(長大) 열차 운행을 위한 핵심기술로, 철도 물류의 수송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40량 이상의 장대 화물열차를 견인하기 위해서는 기관차 2대가 필요한데, 두 대를 연속으로 연결하여 화차 80량을 견인할 경우 긴 열차길이(1.2km) 때문에 제동을 위한 공기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동이 순차적으로 지연되어 안전상의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코레일은 기관차 2대를 화차 앞뒤에 나누어 연결(분산중련)하고, 앞의 기관차(제어기관차)가 뒤의 기관차(피제어기관차)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첨단 기술을 도입해 기술력을 높였다. ‘분산중련 무선제어’ 시스템은 장대 화물열차 운행을 위한 핵심기술로 GE나 Wabtec(社)에서 개발한 기술을 도입하여 미국, 중국, 호주 등 일부 국가에서만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 기술을 그대로 가져올 경우 도입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원천기술을 보유하지 못해 교통 환경 변화에 즉각 대응하기도 어려워진다. 이에 코레일은 지난 3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현대로템과 업무협약을 맺고, 현대로템은 분산중련 무선제어를 위한 전송정보(data)와 차량제어 시스템 로직 설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무선제어기 및 중계기 설계와 설치, 그리고 코레일은 분산중련 무선제어를 위한 차량기술 정보제공과 시운전 업무를 맡기로 하고 독자적인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 이번 기술개발로 단기간에 철도수송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종전에는 1개 열차에 최고 33량을 연결하여 수송하였으나, 지난 3월 17일 부터는 열차운행을 최적화하여 일부 열차에 40량을 연결하여 수송하고 있으며, 4월 17일에는 유선케이블에 의한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