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건강인 게시물 표시

초여름 건강에 관한 사색

초여름 유월은 더위가 시작되고 장맛비도 많다. 햇볕과 열기에 지나치게 노출되거나 땀을 너무 많이 흘리는 경우 더위에 몸이 상하거나 위험한 상황까지 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더울 때 먹는 찬 음식으로 속이 차고 습해질 수 있는데, 바깥 더위에 기운이 소모될수록 안은 약해지므로 상온 이상의 음식을 적당히 먹은 뒤에 찬 음식을 나중에 먹는 요령이 필요하다. 특히 인공적인 빙과류, 음료수 등의 가공식품은 자제하고 여름에 나는 수박, 참외, 물외, 오이, 토마토 등의 계절과일로 더위를 이겨내는 것이 좋다. 초여름은 살을 빼기 위해 운동에 관심이 많은 계절이다. 이 때 체중이 과다할수록 운동으로 살을 빼면 관절에 무리가 가고 운동을 그만 두거나 줄였을 때 요요현상이 올 수 있습니다. 체중감량의 원칙은 올바른 식생활과 평소 많이 움직이는 습관을 생활화하는 일상성에 기초해야 한다. 따라서 체중이 과다할수록 정상체중에 맞추어 식이요법을 실천하고 서서 움직이는 부지런한 습관이나 부드러운 체조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비해 살을 찌워야 한다면 오히려 근육을 늘리는 운동과 필요한 열량을 섭취해야 한다. 여름에는 햇볕에 피부와 두피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햇볕에 피부가 직접 드러나지 않게 해야 하고, 땀을 많이 흘렸을 때는 야채나 과일, 보리차, 옥수수차, 오미자차, 생리식염수 등으로 수분과 미네랄을 동시에 보충해준다. 또한 머리가 매우 짧은 남성과 정수리 숱이 적은 여성은 윗머리를 가릴 수 있고 통풍이 잘 되는 모자로 두피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저녁에는 피부와 두피의 열, 땀을 물로 식히고 씻어주도록 하고 신선한 여름 야채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좋다. 알레르기 대표 질환인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은 폐 기운이 약해져서 생긴다. 초여름에 빙과류 등의 찬 음식, 에어컨 등의 찬바람은 폐의 기능을 약화시켜서 여름감기도 일으키고 가을 환절기에 알레르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온도가 차가운 음식 뿐 만 아니라 고열량음식, 가공식품 등 대...

전립선 비대증 억제는인삼이 좋아

대부분의 남성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조직학적인 변화는 35세부터 시작되어 여러 가지 배뇨장애를 동반한다. 전립선은 성 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호르몬의 변화로 전립선이 커져 소변이 나오는 통로가 좁아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남성 호르몬이 필요한데 고환의 노화로 인하여 그 기능이 저하됨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전립선(前立腺)이란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는 중간 위치의 좁은 목 부위에서부터 요도를 감싸고 있는 약 18g정도로 밤알크기의 남성에게만 있는 장기로서 정액성분의40~50%를 생성하고 정액의 질을 높여주는 성 부속기관이다. 전립선은 미세한 관(전립샘관)들이 모인 형태로 방광 바로 아래 위치하고 있어 문제가 생기면 배뇨장애를 일으키며 방광을 자극해 소변을 자주 보게하며 혈관이 충혈 돼 배뇨 시에 피가 나오기도 한다. 그래서 50대 이후 남성이 화장실에서 소변을 볼 때 한참 있어야 소변이 나오기 시작하고, 소변을 보았다고 생각하여 지퍼를 올렸는데 남아있던 소변이 떨어져서 옷을 적시기도 한경우가 있을 것이다. 또한 묵직한 통증까지 느끼기도 한다. 이렇듯 소변줄기가 약한 사람은 우선 전립선에 이상이 있는지 의심해 보고 이상이 있다면 남성생식기 전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발기력이 떨어지고, 성기능도 약화되면서 남성으로써의 삶의 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전립선 비대는 일반적으로 50대 남성은 50%, 60대 남성은60%, 70대 남성은 70%가 앓고 있다고 할 정도로 고령의 남성들에게서흔히나타나는질환이다. 하지만전립선이커진다고하여 모두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고 방광 하부의 막힘이나 방광자극증상을보일경우에만전립선비대증상이나타난다. 전립선비대증은한의학적으로볼때노화의과정중신장의정기가약하고남성호르몬의분비가떨어지기때문이라고한다. 이번 농촌진흥청의 연구 결과로 인삼이 전립선 비대에 미치는 효과는 병원에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휘나스테라이드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단순히 인삼 복용만으로도 전립선 비대 억제에 ...

실내 식물로 가습 효과 얻고 미세먼지 없애자

현대인은 하루 일과 중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며 하루에 20~30kg 정도의 공기를 마신다. 이를 고려하면 실외 공기보다 실내 공기가 현대인의 건강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럴 때 실내에서 식물을 키워보면 어떨까? 겨울철 건조한 집안에서 식물을 키우면 천연 가습 효과와 미세먼지 제거 효과까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푸른 색감이 더해지면서 그린 인테리어까지 가늠해 보는 즐거움까지 느낄 수 있다. 아이들이 있는 가정이라면 식물을 키우는 과정을 함께 지켜보면서 교육 효과를 얻는 것은 물론 가족 간에 대화의 시간을 늘려도 좋다. 가습 식물로는 행운목, 쉐플레라가 좋아 농촌진흥청에서는 원예식물 92종을 허브류, 관엽류, 자생식물 등 8그룹으로 분류해 음이온 발생량이 우수하면서 실내 습도를 올려주는 효과가 있는 가습 식물을 조사했다. 가습 식물은 대체로 잎이 크고 물을 좋아하는 식물로 대표적으로 행운목, 홍콩야자로 불리는 쉐플레라, 장미허브, 돈나무 등이 있다. ◆ 행운목 행운목은 뿌리가 많이 발달하지 않아 포름알데히드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능력이 좀 낮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높고 음이온 발생량이 많아 큰 식물로 거실에 두는 것이 좋다. 특히 봄, 가을, 겨울철 집안이 건조할 때에 실내 습도를 높이는 천연 가습기 역할을 한다. ·관리 - 흙은 촉촉한 상태로 유지한다. 겨울에는 물을 주는 횟수를 줄이고 비료는 주지 않는다. 분무기로 자주 물을 분사하고 젖은 천으로 잎을 닦아준다. 잎 끝이 갈색으로 변하면 관리 상태와 환경을 점검해 보고 잎 끝 부분을 가위로 다듬어 원래의 잎 모양을 유지하도록 한다. ◆ 쉐플레라 쉐플레라는 음이온이 많이 나오고 증산을 통해 실내 습도를 높이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톨루엔 제거 효과가 좋아 새집증후군 완화 효과도 좋다. 가정에서는 겨울철과 같이 건조한 계절에 침실이나 거실에 두면 상대습도 증가와 새집증후군 완화에도 효과적이다. ·관리 - 활발한 생육기에는 토양을 항상 촉촉하게 유지한다. 휴식기인 겨울철에는 물...

당뇨엔 고구마... 고혈압엔 감자

당뇨엔 고구마... 고혈압엔 감자   기를 보충해 주는 식품... 감자와 고구마 화기애애한 '가족대항전'이라고 여길 사람이 많겠지만 실상은 '한·일전'입니다 둘 다 노란색 식품(yellow food)인데다 고구마를 감저(甘藷), 감자를 북방감저라고도 부르니 '한 통속'이라는 오해를 살만도 하네요. 게다가 우연히도 조선 말기에 한반도에 들어왔고 구황식품으로 쓰였던 공통 전력이 있습니다. 한방에서 둘 다 허(虛)한 기를 보충하는 보기(補氣)식품으로 간주하지요. 그러나 감자는 가지과, 고구마는 메꽃과(모닝글로리) 식물로 근본부터 다릅니다. 감자가 줄기가 변해 생긴 덩이줄기라면 고구마는 뿌리가 변한 덩이뿌리지요. 외양도 고구마는 길쭉한 데 반해 감자는 둥글고 통통합니다. 또 감자는 강원도처럼 서늘한 곳 출신인데 고구마는 따뜻한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지요. 당뇨병엔 고구마가 좋아.. 둘의 '체급'(열량)부터 달아볼까? 생것끼리만 비교하면 고구마는 '헤비급'(100g당 128kcal), 감자(66kcal)는 '플라이급'입니다. 이는 고구마가 더 달다는 것과 관련이 있겠지요. 그러나 감자를 기름에 튀겨 포테이토칩(532kcal)이나 프렌치프라이드(324kcal)로 만들어 먹는다면 사정은 180도 달라집니다. 가족 중에 당뇨병 환자가 있으면 당지수(GI)나 당부하(GL)에 관심이 많을 겁니다. GI나 GL이 가급적 낮은 식품을 골라 먹는 것이 혈장 조절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이런 측면에서 당뇨병 환자에겐 감자보다는 고구마가 좋습니다. 구운 감자의 GI는 85, GL은 26인데 고구마의 GI, GL은 그 절반 수준인 각각 44와 11에 불과하기 때문이죠. 고혈압엔 감자가 탁월한 효과 고구마는 단맛, 감자는 아린 맛(감자의 눈에 든 솔라닌에 기인)인데 훨씬 단 고구마의 GI가 감자보다 낮은 이유가 궁금하시죠? 서울여대 식품영양학과 이미숙 교수는 '고구마의 섬유소 함량이 감자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