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 유월은 더위가 시작되고 장맛비도 많다. 햇볕과 열기에 지나치게 노출되거나 땀을 너무 많이 흘리는 경우 더위에 몸이 상하거나 위험한 상황까지 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더울 때 먹는 찬 음식으로 속이 차고 습해질 수 있는데, 바깥 더위에 기운이 소모될수록 안은 약해지므로 상온 이상의 음식을 적당히 먹은 뒤에 찬 음식을 나중에 먹는 요령이 필요하다. 특히 인공적인 빙과류, 음료수 등의 가공식품은 자제하고 여름에 나는 수박, 참외, 물외, 오이, 토마토 등의 계절과일로 더위를 이겨내는 것이 좋다. 초여름은 살을 빼기 위해 운동에 관심이 많은 계절이다. 이 때 체중이 과다할수록 운동으로 살을 빼면 관절에 무리가 가고 운동을 그만 두거나 줄였을 때 요요현상이 올 수 있습니다. 체중감량의 원칙은 올바른 식생활과 평소 많이 움직이는 습관을 생활화하는 일상성에 기초해야 한다. 따라서 체중이 과다할수록 정상체중에 맞추어 식이요법을 실천하고 서서 움직이는 부지런한 습관이나 부드러운 체조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비해 살을 찌워야 한다면 오히려 근육을 늘리는 운동과 필요한 열량을 섭취해야 한다. 여름에는 햇볕에 피부와 두피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햇볕에 피부가 직접 드러나지 않게 해야 하고, 땀을 많이 흘렸을 때는 야채나 과일, 보리차, 옥수수차, 오미자차, 생리식염수 등으로 수분과 미네랄을 동시에 보충해준다. 또한 머리가 매우 짧은 남성과 정수리 숱이 적은 여성은 윗머리를 가릴 수 있고 통풍이 잘 되는 모자로 두피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저녁에는 피부와 두피의 열, 땀을 물로 식히고 씻어주도록 하고 신선한 여름 야채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좋다. 알레르기 대표 질환인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은 폐 기운이 약해져서 생긴다. 초여름에 빙과류 등의 찬 음식, 에어컨 등의 찬바람은 폐의 기능을 약화시켜서 여름감기도 일으키고 가을 환절기에 알레르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온도가 차가운 음식 뿐 만 아니라 고열량음식, 가공식품 등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