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년 전 모 방송국에서 방영했던 드라마 '태양사신기'는 주몽이 청룡·백호·현무·주작 등 사신(四神)의 도움을 받아 고구려를 건국했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됐는데, 이 때문에 사신은 고구려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대중에게 무척 친숙해졌다. 동방의 청룡, 서방의 백호, 남방의 주작, 북방의 현무로 대표되는 사신 개념은 중국 고대의 오행사상 및 천문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오행사상은 우주 만물을 구성요소를 5가지로 압축해서 설명하는 이론으로, 5행이라는 것은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를 말한다. 목은 청룡, 금은 백호, 수는 현무, 화는 주작과 연결된다. 토는 황룡과 연결되는데, 대표적인 고구려벽화고분인 강서대묘는 벽면에 묘사된 사신 이외에도 천정 중앙에 황룡이 묘사되어 완벽한 오행사상을 구현시키고 있다. 드라마 태왕사신기는 바로 강서대묘에 그려진 사신도를 모티브로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신도는 강서대묘 외에도 다른 고구려고분벽화에서 다수 존재하지만, 오행사상의 완벽한 구현 이외에도 예술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강서대묘는 고구려의 완숙한 정신세계와 문화예술 수준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서대묘의 사신도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역사성 못지 않게 예술성이란 큰 가치를 선사하고 있다. 치밀한 설계와 능숙한 시공, 세련된 돌 다루는 기술에 의해 이뤄진 석조 예술품 평안남도 남포시 강서구역 삼묘리는 마을에 고구려 고분 3기가 모여있어 '삼묘리'라고 불린다. 고분군의 제일 남쪽이 강서대묘, 그 뒤 나란히 놓인 두 고분 가운데 서쪽이 강서중묘, 동쪽이 강서소묘이다. 때문에 이들 세 고분을 강서삼묘, 강서세무덤이라고도 부른다. 이중 7세기에 속하는 강서대묘는 사신도를 그린 단실묘로 강서중묘와 함께 고구려 후기 벽화고분을 대표하는 유적 중 하나로 꼽힌다. 고구려 벽화 시기를 나눌 때 보통 3기에 속하는 고분 벽화다. 3기는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가 불안정해 동북아시아 패권국가와 문화중...